Home > 교육과정 > 전공과정 이수방법

Major Curriculum Table

전공과정 이수방법

공지사항 :

전공과정 이수방법

토목건축 전공은 교양교육과정을 공통으로 이수해야 하며, 이에 더해 전공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학점을 이수하도록 한다. 2025학년도 입학생부터는 단일전공의 경우 전공 최저 60학점을 이수하여야 하며, 마이크로디그리 전공 12학점(타 전공도 가능)도 포함한다.

심화전공 이수 학점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60학점을 이수 할 경우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48학점과 본인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 할 경우

부·복수전공 이수 학점

  • 복수전공의 경우 최저 36학점(전공핵심 9학점 필수), 부전공은 최저 24학점(전공핵심 6학점 필수)이상을 이수한다.

졸업 이수 학점

  •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최소 130학점 이상이다. 또한, 전공 교과목 중에서 전공핵심으로 지정된 12학점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이수학년 개설학기
전공핵심   응용역학1 3 2 1
  수리학 및 실험1 3 2 1
  지반공학 3 3 1
  철근콘크리트공학 3 3 1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교육목적

  • 건설은 인간의 주생활과 관련되어 거주공간의 확보를 위한 건축분야와 인간의 이동 및 삶의 편리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사회간접시설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는 토목분야로 크게 구분된다.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 및 산사태와 예측불가의 지진 발생이 증가하여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안전한 사회의 구축을 위해 건설분야(토목건축)의 중요성이 점점더 강조되어 가고 있다.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토목건축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토목건축기초역량을 배양하고 향후 이 분야와의 융합이 가능하도록 관련 지식을 학습한다.

교육내용

  • 토목건축분야는 건설을 위한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건축 기본이론, 건설재료의 현재와 미래, 구조물을 지탱하는 흙의 활용과 지각변동 및 지반함몰 등의 위험, 효과적인 물의 관리 및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풍수해 등의 재난관리에 대해 학습한다.
  • 건축학개론, 물과 미래, 흙의 활용과 위험, 스마트건설재료

이수방법

  • 본인 전공에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전공은 전공 학점으로만 인정되며, 타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하여야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필요한 학점은 지정된 교과목 12학점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Micro Degree명칭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이수학년 개설학기
토목건축 기초역량   건축학개론 3 2 2
  물과 미래 3 3 1
  흙의 활용과 위험 3 3 2
  스마트 건설재료 3 4 1

교내퀵링크 Quick Links

교과목 이수체계도
전공교과목 상세안내
토목건축전공 학사일정학교 및 학과 학사일정
N 공지사항
J 취업정보
G 갤러리
R RSS
구글 번역기를 이용해서 번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미래융합학부2 토목건축전공 사이트맵 미래융합학부2 토목건축전공 사이트맵입니다